- 에러메시지 확인/번역 필수
- 에러메시지 자르지 말고 위에서부터 천천히 볼 것(Fail, Error 등으로 검색)
- 보통 abc.js:773:82 이렇게 773번째 줄, 82번째 칸이라고 에러 위치 나와있음(스택 트레이스)
- 에러 위치 열어보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기
- 스택 트레이스가 여러 줄일 수 있는데 그 중에 내 에러와 남의 에러가 같이 있으면 둘 다 의심해봐야한다.
- 에러메시지가 내 코드 에러인지, 라이브러리 에러인지 분류
- 1.b에서 파일명:줄:칸 뜬 게 내 코드라면 2.b, 남의 코드라면 2.c
- 내 코드 에러라면 구글/스택오버플로우/챗GPT 검색
- 라이브러리 에러라면 라이브러리 GitHub에 검색하는 게 최선
- 라이브러리 에러에도 내가 라이브러리를 잘못 써서 발생한 에러인지
- 아니면 라이브러리 자체가 문제가 있어서 발생한 에러인지가 다르다.
- npm에서는 patch-package가 유용
- github에 이슈 건의하고 과거 버전으로 돌려볼 것
- PR 날릴 수 있으면 BEST
- 하나 해결책이 실패하면 다음 걸 시도하기 전에 이전 건 꼭 반드시 되돌리자.
- 안 그럼 쓸데 없는 코드들이 엄청 많이 붙어있게 된다.
- 에러가 언제부터 또는 어디서 발생했는지 모르는 경우
- 과거 내가 했던 것을 되돌려본다
- git reset, 입력 하기전에 지금 한 걸 새 branch에 커밋해두는 거 필수
- 틈틈이 git commit하는 게 중요.
- 안 그러면 어디서부터 했는지 찾기 너무 힘들다
- 정상적으로 되던 때 → 에러나는 순간을 포착